본문 바로가기

끄적끄적12

[항해99 8기 - 55일차] 씐난당 (작성 당일... 임시저장 해놓고 잠들어 버려서... 이제서야 발견해서 올림) 22.09.03 실전 프로젝트 2주차가 되었다 거진 일주일 동안 기획의 늪에 빠진 관계로 api 명세도 어제 겨우 끝냈고 (아직 추가해야할 게 남았지만) DB 테이블도 아쉬운 점이 많아서 수정을 거듭하다 보니 1주차 목표였던 전체 api 구현을 완료하지 못했다 그래서 오늘 만나면 하려고 계획 했던 걸 하나도 못하고 api 구현 마무리 하느라 바빴는데.. 그것들은 다시 게더 타운에서 하면 되는 거니까! 잠 좀 덜 자고... 월화수목금금금을 살자...?! 그리고 아직도 고민인 redis... 회원가입 시 생성되는 이메일 인증번호를 저장하고 시간이 흐르면 자동으로 삭제되게 하려는데 redis가 제격인 거 같아 사용해 보고 싶었다 하.. 2022. 9. 11.
[항해99 8기 - 51일차] 갈아엎다 22.08.30(화) 결국 갈아엎었다 실전 프로젝트. 어제 하루 종일 머리 맞대고 새로운 마음으로 아이디어부터 다시 정해서 와이어프레임까지 끝내고 오늘 하루 종일 API 명세 작성하고 DB 구조 짜고 나니 이틀이 순식간에 지나가버렸다 s.a 피드백 받고 멘붕인 상태에서 새로 하려니 몸도 마음도 지치고... 떠오르는 아이디어는 죄다 구린 것뿐이고..ㅠㅠ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은 있다고 했던가.. 우리의 빛과 소금과 같은 존재인 디자이너님께서 하루종일 12시간 넘게 같이 있어준 것만으로도 너무 미안한데 아이디어까지 내주셨다ㅠㅠㅠㅠㅠㅠ 너무 감사하고 감사하고 감사할 뿐이다ㅠㅠ 기획만 하다가 벌써 일주일의 반 이상이 날라가 버렸지만.. 오히려 사용자가 좀 더 쉽게 즐길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 수 있을 거 .. 2022. 8. 31.
[항해99 8기 - 24일차] jwt 같은 과제 끝 정확히 25일차 새벽이지만 24일차라 하자. 이번 주차 과제는 정말이지 손을 댈 수가 없었다. 심화반 강의를 3주차까지 듣고 이건 아니다 싶어서 학습자료를 봤다. 이것도 아니었다. 과제 요구 사항은 mongoose를 sequelize로 바꾸란 거였는데 mongoDB로 연결된 프로젝트랄 게 딱히 없었고.. MySQL 쿼리 짜는 법도 공부해보고 싶고 sequelize도 도통 알아먹을 수가 없어서 어느 정도 이해는 하고 과제를 시작하고 싶었다. 이번주차 과제에 필요한 것들 확인하고 노드교과서만 주구장창 보면서 코드 따라 치다 보니 금세 화요일 밤이 되었다. sequelize로 대충 모델 윤곽만 잡아놓고 오늘(수요일) 하루 종일 눈 빠지도록 기능 구현하다가 jwt 토큰 쓰는 걸 잊고(과제 요구사항) passpo.. 2022. 8. 4.
[항해99 8기 - 21일차] 세 번째 WIL 첫 번째 주특기 주차가 끝나고 주말이 되었다 개인 과제를 끝내고 시간이 갑자기 붕 떠서 갈길을 잃었지만 javascript 기초를 잡고 갈 수 있던 의미있는 주가 되었다 스코프, 클로저, 비동기, 이벤트 루프... 유튜브에 있는 관련 영상은 안 본 게 없을 정도로 찾아 봤더니 어느 정도 이해가 되기 시작했다 클로저는 아무리 봐도 이해가 안 됐는데 NHN 개발로그의 스코프와 클로저 포스팅이 많은 도움이 됐다 나도 몇 년 후에는 저런 지식공유자가 될 수 있을까.. 이해보다 이해한 걸 설명하는 게 참 어려운 일 같다 그리고 제로초 찬양자가 되는 것 같지만.. 제로초 - 인간 JS 엔진 되기 이 강의는 정말 다들 한 번씩 봤으면 한다. 노드의 핵심인 비동기 위주로 강의가 구성돼있고 총 16강이라 그렇게 부담스럽.. 2022. 7. 31.
[항해99 8기 - 16일차] 돌아가기 7/26 (화) 이번 주차 개인 과제를 끝내고 방황이 시작 되었다. 갑자기 속박에서 벗어난 느낌이랄까...? 자바스크립트 문법 강의도 보다가 git commit message 작성법도 찾아 보다가 새로 산 리팩터링 책도 보다가 책 보니까 잠와서 점심 포기하고 낮잠도 자다가 물론 결국 배고파져서 캠 각도 살짝 올려두고 떡볶이 먹음..ㅎㅎ 그렇게 시간만 흐르던 중에 이럴 때일수록 돌아가라!는 전세계 선인先人들 중 누구 하나는 했겠지 싶은 말이 떠올라 노드교과서를 폈다. 무작정 읽기 시작했을 땐 정말 하나도 이해되지 않아 머릿속에 들어온 것 하나 없던 '제 3장 : 노드 기능' 기초가 중요하다지만 이해가 돼야 읽지!하고 일단 넘어간 부분을 다시 읽어 보았다 또 그 동안의 삽질이 자양분이 되었던가.. 어느정도 .. 2022. 7. 27.
[항해99 8기 - 15일차] 개인과제 끝! 25일에서 26일로 넘어가는 새벽 Q. RESTful한 API를 설계했나요? 어떤 부분이 그런가요? 어떤 부분이 그렇지 않나요? 처음엔 id값을 (강의에서 처럼) 프론트에서 지정하는 걸로 설정하여 routes폴더에 posts.js 파일 하나만 생성하였고, post와 comment의 api url을 "/post/:postId/comment/:commentId"처럼 꼬리를 무는 식(?)으로 구현하였었다. 하지만 실제론 프론트에서 임의로 지정하지 않고 백에서 부여해준다(?)는 강사님의 말이 떠올랐고, mongodb에서 자동으로 부여해주는 id값을 사용하는 것으로 수정을 해보았다. 댓글 api에 게시글 id값을 파라미터로 가져와 url을 설정하려고 하니 어떤 순서로 해야 좀 더 restful할지 고민이 되었다... 2022. 7. 26.